최과장이 회사에서 배운 것

전자상거래 플랫폼 기업 cafe24 와 HTTP/2, 그리고 서버와 IDC

뷰티왕최과장 2023. 12. 8. 13:46
반응형

카페24 (cafe24) 를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최과장은 업무를 진행하다가 카페24에 대해 접하게 되었습니다.

그냥 단순히 온라인 쇼핑몰 플랫폼이라고만 생각을 했었는데,

그건 그저 생각일 뿐 한번쯤은 자세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생존하는최씨, 최과장은 한번 이것 저것 찾아보기 시작합니다.

 

 

1. 카페 24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기업입니다. 1999년 설입된 이후 필리핀과 중국, 일본, 대만 등에 진출하였습니다.

 

2. 브랜드 출범 이후, 호스팅센터, 쇼핑몰센터, 디자인센터, 마케팅 센터, 창업센터를 오픈하였습니다.

 

3. 최근 충주시와도 지역 특산물 쇼핑 행사와 같은 프로젝트를 협업하고 있다고 합니다. 

 

4. 대표적인 파트너들로 스타일난다, 육육걸즈, 고고싱,  가발나라, ABBAMART 등의 국내기업들과, 티몰, 라쿠텐, 아마존 등의 해외 기업들이 있습니다. 웹 페이지 상으로 보면 글로벌로 나아가는 것을 잘 드러내려고 하고 있습니다. 

 

5. 웹 페이지의 호스팅센터 - 카페24 (cafe24corp.com) 를 살펴보면 HTTP/2. PHP7 등의 IT 기술을 적용하여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6. 여기서 잠깐 새겠습니다. HTTP2 는 또 무엇일까요? 아니, HTTP 는 무엇일까요? HTTP 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7. 1989년 발명된 이후로 WWW 에서 거의 통신 표준이 된 응용 프로토콜입니다. 

 

8. HTTP1.1 은 1997년 이후 최근까지 사용된 프로토콜인데, 2015년에 모바일 플랫폼과 그래픽 처리 시 대기 시간을 줄이는 HTTP/2 가 나왔습니다. 

 

9. HTTP1.1 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호스트(Host; browser) 와 타겟 (target; webserver) 모두 data link layer, networklayer(IP), transport layer(TCP), application layer (HTTP) 로 계층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10. 다시한번 정리하면,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웹 서버 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최상위 응용프로그램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텍스트 기반 요청을 보내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는 HTML 과 같은 리소스를 클라이언트에 다시 보냅니다.

 

11. 이 과정에서 요청과 응답의 교환을 인터넷 프로토콜 stack 의 단일 응용프로그램 계층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12. 그럼, HTTP/2 는 어떤 것이 달라졌을까요? 아까 대기 시간을 줄인다는 말이 있었습니다. 이 HTTP/2 는 구글에서 개발한 SPDY 프로토콜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이 HTTP/2 의 핵심 기술은 압축, 다중화, 우선 순위 지정 같은 기술입니다.

 

13. 출판에 있어 처음부터, chrome, Opera, Internet explorer, safari 를 포함한 많은 브라우저가 표준화 작업을 지원했고, 새로운 사이트의 채택률이 높습니다.

 

14. HTTP1.1 은 모든 요청과 응답의 교환을 일반 텍스트 형식으로 유지하는데 비해, HTTP/2 는 바이너리 프레이밍 계층을 사용해서 모든 메세지를 캡슐화 하는데 포인트가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수준 API 는 기존의 HTTP 형식의 메세지를 생성하지만, 기본 계층은 메세지를 바이너리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15. 메세지를 바이너리로 인코딩하면 HTTP/2 가 HTTP1.1 에서 사용 불가한 제이터 전달에 대해 새로운 접근 방식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다른 전달 모델 가능성을 허용한다는 말입니다. 

 

16. 바이너리 프레이밍 레이어는 요청과 응답을 인코딩하고 더 작은 패킷으로 ㅈ라라서 데이터 전송과정의 유연성을 크게 증대하게 되었습니다.

 

17. HTTP1.1 의 경우, HOL 차단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여러 TCP 연결을 사용해야하는데, HTTP/2 는 두 시스템 간에 단일 연결체계를 설정합니다. 이 연결에는 여러 데이터 스트림이 있습니다.

 

18. 또, 스트림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개발자가 요청의 상대적 가중치를 지정해서 애플리케이션 성능 최적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가중치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동시에 요청을 보낼 때, 각 스트림에서 1~256의 가중치를 할당해서 응답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256에 가까워 질 수록 우선 순위가 높습니다.

 

19. 그리고 '헤더 압축'이 있는데, HTTP/2 는 데이터에서 헤더를 분할한 뒤 헤더 프레임과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또, 전용 압축 프로그램 HPACK 이 헤더 프레임을 압축할 수 있는데, Huffman 코딩을 사용해서 헤더 메타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기에 그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20. HPACK 은 이전에 전달된 메타데이터 필드를 추적하고,  클라이언트-서버 간 공유되는 인덱스에 따라 압축을 더 할 수있습니다. 그러니깐, 결국 클라이언트-서버 대기 시간을 감소 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21. cafe24 의 HTTP/2 기술 적용에 대해 이야기하려다가 잠깐 샜네요. 기존 보다 좋은 기술이라는 얘기입니다. 다시 돌아가겠습니다.  cafe24 는 또 업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460G 백본망을 통해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합니다. 

 

22. 이 460G 백본망이라는 키워드는 cafe24의 '해외 고객 타겟 쇼핑몰들의 글로벌 이벤트' 라는 부분으로도 홍보가 되고 있습니다. 글로벌리하게 대규모 이벤트를 수행하게 되면, 예를 들어 전 세계에서 동일 시간에 아티스트의 앨범이 출시가 되거나 프로모션을 할 경우 예측하지 못한 과도한 트래픽이 발생을 할 때,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23. 최대 460G 백본망에 28,000 대 이상의 서버를 운영한다고 하고, 트래픽을 자동적으로 예측한다고 합니다. 사전에 파악해서 서버를 증설할 수 있다는 말인 것 같습니다. 

 

24. 대용량 트래픽도 180G 백본 스위치의 이중화 구성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하는데, 트래픽 분산처리가 쇼핑몰의 핵심인가봅니다.

 

25. 서버/IDC 호스팅에 대해서도 살펴봐야겠습니다. IDC 는 internet data center 의 줄임말인데, 서버를 한 곳에 모아 집중시킬 필요가 있을 때 세우는 일종의 '서버 호텔' 과 같은 것입니다. 이 IDC 를 통해서 서버 컴퓨터와 네트워크 회선과 같은 것을 제공하고, 대규모의 트래픽이 발생하는 온라인 게임 업계에서는 상당히 중요한 시설이라고 합니다. 일단 온라인 게임은 '서버'가 없으면 서비스 운영이 곤란한데, 대규모 트래픽이 생기는  MMORPG 의 경우 네트워크의 속도나 관리를 위해 IDC 를 이용한다고 합니다.

 

26. 보통 IDC 는 여러가지 이슈로 인한 서버 멈춤에 대비하기 위해, 정전되지 않도록 설계하며, 일반적으로 IDC 는 우선적인 전력 공급과, 다중으로 전력 공급을 받기 위한 장치를 합니다.

 

27. 자 이렇게 cafe24로부터 시작을 해서, HTTP 부터 IDC 까지 한 번 알아봤습니다.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어떠한 용어나 대상에 대해 지식이 필요할 때가 많습니다. 앞으로도 관련분야에 대해서 지속 학습을 해보아야겠습니다.

 

 

 

 

 

 

반응형